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DN
- 6시간 알차게 쓰기
- 서비타이제이션
- 제조업 디지털화
- 제조업의 변화
- 5G 추진현황
- ICT교류
- ICT 협력
- 컴퓨팅 환경 변화
- 하루 6시간 근무 실험
- 네트워크 전망
- 향후 네트워크
- 제조업과 ict
- 엣지 컴퓨팅 개념
- 글로벌 경제
- 4차 산업혁명 중요인프라
- 제조강국 경쟁력 변화
- 주요국가 5G
- ICT분야 남북경협
- 스웨덴 정부의 실험
- 국가별 5G
- 5G 기술 준비도
- 북한의 ICT인프라
- 제조업의 패러다임
- 제조업의 서비스화
- 뉴로모픽 반도체
- 6시간근로
- 유럽 노동시간
- 비트코인
- 네트워크 가상화
- Today
- Total
IT 글로벌 시대의 지식 정보
아시아 유망 산업분야 본문
아시아의 중산층이 급성장했다.
신흥 아시아 전역의 모두가 더 많은
소득을 올린다.
싱크 탱크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2030년 세계 중산층 중 3분의 2가
아시아인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리고 이들은 돈을 쓸 것이다.
그것도 아주 많이.
2020년 중국 한 나라만 해도 소비가
55% 증가해 6.5조 달러에 이를 것이며
인도의 경우 소비가 2025년 4조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30년이 되면, 아시아 중산층이
세계 소비의 60%를 차지할 것이다.
2010년 당시에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중산층이 세계 소비의 약 60%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중산층이 TV, 의류 및
자동차 같은 것만 사지는 않을 것이다.
건강관리, 여행 및 교육과 같은 서비스를
점점 더 많이 소비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같은 중산층 성장세의
가장 큰 수혜자는 누구일까?
개인 건강관리
현재 중국 정부는 14억 인구 거의
모두에게 일정 형태의 건강 보험을
제공한다.
하지만 공공 건강관리 상태는 엉망이다.
한마디로 임금이 낮은 공중 보건의가
돌봐야 할 환자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 결과,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이
너무 많고, 대부분의 중국 국민들이
받는 일반 건강관리 상태는
열악한 상황이다.
이제 소득이 많아진 중산층이 더 나은
건강관리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맥킨지 앤 컴퍼니에 따르면 중산층이
주도하는 중국의 개인 건강관리 지출이
2011년 3,50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중국의 중산층이 성장함에
따라 더 많은 사람이 더 나은
건강관리에 더 많은 돈을 지출할 것이다.
중국만 그런 게 아니다.
투자 회사 KKR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및 인도 또한 개인 건강관리 지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레저 활동
중산층이 돈을 쓸 하나의 큰 분야가
레저 활동이다.
아래 차트에서 볼 수 있듯 중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소득의 30%를
레저 활동에 쓴다
(중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2020년
총 중국 소비의 5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현재 45%에서
증가한 것이다).
이들은 소득의 16%만 물건을
사는 데 소비한다.
여행
신흥 아시아 전역 및 중국은 엄청나게
억눌린 여행 수요가 존재한다.
1990년대 러시아에서 나타났던
것과 비슷하다.
이전 수십 년 동안 구소련 국민들은
아주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여행을 할 수 없었다.
1991년 소련 시대가 막을 내린 후
여행 제한이 완화되었다.
이후 몇 년 동안 경제가 안정화되고
상품 가격이 상승하고 국민들의
소득이 증가한 후에야 국제 여행이
늘기 시작했다.
당시 러시아 중산층은 비참한
수준이었던 러시아와 구소련의
리조트를 외면하고 결국 휴가가 되면
유럽으로 떠나게 되었다.
현재 전 세계 관광지에서 러시아어를
들을 수 있다.
그리고 그때와 비슷하게 오클랜드부터
파리 그리고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몇 년 전보다 훨씬 많은 중국인과
인도인을 목격할 수 있다.
이 수백만의 새로운 관광객이 전 세계
여행 업계를 변화시킨다.
아래 차트에서 알 수 있듯 아시아의
관광객 수는 지난 몇 년 동안 급격히
증가했다.
현재 전 세계 관광객 중 약 26%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람이다.
2024년 중국이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의
항공 시장이 될 것이다.
현재 전 세계 관광객 중 약 26%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람이다.
2024년 중국이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의
항공 시장이 될 것이다.
중국의 항공 여객 수송량은 2025년
9억 2,70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의 경우 9억 4백만 명으로 예상한다)
2035년이 되면 13억 명으로 늘어날 것이다.
한편 인도는 2032년 세계 3위 항공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0-15년 동안 인도 항공 여객
수송량은 연간 5억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중국과 인도의 관광 산업이 호황을
누린다는 의미다.
마치며
이들 산업은 성장하는 세계 중산층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산업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 중산층이 (이들의 가처분 소득과 더불어)
장하면서 소비자는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속도로 물건을 살 것이다.
현명한 투자자라면 이것이 적절한 곳에
투자하기만 하면 삶을 바꿔놓을 수익을
올릴 추세라는 사실을 알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일찍 참여하기를 바란다면
중산층의 성장에서 이익을 얻을 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한다.
'세계경제 글로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 밀레니얼 세대 신흥 시장으로 부상 (0) | 2017.12.28 |
---|---|
세계 5대 IT업체 수익구조 (0) | 2017.12.10 |
트럼프의 중동 좌충우돌 (0) | 2017.11.29 |
글로벌 경기 와 '원자재 펀드' (0) | 2017.11.25 |
중국 일대일로의 유혹 과 위험 (0) | 2017.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