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4차 산업혁명 중요인프라
- 네트워크 전망
- 비트코인
- 엣지 컴퓨팅 개념
- 제조업의 서비스화
- 유럽 노동시간
- 북한의 ICT인프라
- 6시간근로
- ICT분야 남북경협
- 스웨덴 정부의 실험
- 글로벌 경제
- 주요국가 5G
- 제조업과 ict
- 컴퓨팅 환경 변화
- 제조업의 패러다임
- 네트워크 가상화
- ICT 협력
- 5G 추진현황
- 하루 6시간 근무 실험
- 서비타이제이션
- ICT교류
- SDN
- 뉴로모픽 반도체
- 제조업 디지털화
- 제조업의 변화
- 제조강국 경쟁력 변화
- 5G 기술 준비도
- 국가별 5G
- 6시간 알차게 쓰기
- 향후 네트워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및 전망 (1)
IT 글로벌 시대의 지식 정보
모바일 트래픽은 이동통신 시장 성장을 대표하는 지표중 하나입니다. 주파수 수요와 공급, 네트워크 관리, 정보통신 정책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러한 시장수요에 대응하고 전파자원의 선제적 확보·공급이 가능한 주파수 선순환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및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트래픽 추세, 이용자 특성별 트래픽 현황 등을 살펴보고, 2023년까지 향후 6년간 이동통신 가입자, 이동통신 트래픽 전망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2017년 3분기 기준, 우리나라는 인구 대비 이동통신 보급률이 122%를 넘어섰습니다. 이동통신 대비 4세대 이동통신(4G) 가입률은 78% 수준입니다. 이동통신 데이터 트래픽은 305 페타바이트(P..
통신, 네트워크 전망
2018. 1. 27. 22:00